이것도 수양회 중 쓴 글이라 좀 늦었습니다.

 

[정리1. 본문 정리]

1. 결국 아달월 십삼일(12월 13일)에 일어난 심판의 날

  1) 드디어 유다인들이 대적들에 의해 제거되기를 원했던 날 오히려 대적을 심판하게 된 날.

  2) 당시 본토의 지방관들은 모르드개를 두려워하여 유다인들에게 협조적으로 도왔다.

  3) 유다인들은 각 지방에서 대적들을 쳐서 도륙하고 죽였는데, 미워하는 자를 마음대로 행함.

  4) 수산 궁 안에서만 500명을 죽이고, 하만의 아들 10명을 또한 죽였다.

2. 왕은 왕후 에스더에게 혹시 또 다른 소청이 있는지를 물어 본다.

  1) 좋게 여긴다면 수산에 있는 유다인들이 내일 하루 더 조서대로 행할 수 있게 하시고,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를 나무에 매달게 하소서 요청함.

  2) 왕이 허락함으로 수산에 있는 자들은 14일에도 유다인들이 300명을 도륙함. 그러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않음.

  3) 전국적으로는 75000명을 도륙한 것이었으나,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

3. 부림절을 아달월 14,15일에 지키게 된 배경

  1) 대부분의 지방은 13일에 유다인들의 대적을 죽이고, 14일에 잔치를 베풀고 즐겼다.

  2) 그런데 수산에서는 13,14일에 유다인의 대적을 죽이고, 15일에 쉬며 잔치를 베풀었다.

  3) 모르드개는 이 모든 과정을 기록하게 하고, 왕의 각 지방에 글을 보내어 한 규례를 세워 해마다 아달월 14일과 15일을 지키게 하였다.

  4) 유다인들이 대적에게 벗어나 평안함을 얻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되었기에 이 두 날을 지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고 가난한 자를 구제.

  5) 하만이 유다인들을 죽이는 날을 정하려고 제비를 뽑은 것, <부르>의 이름을 따서 부림이라고 하고 해마다 그 날을 정해서 지키고 폐하지 아니하기로 작정함.

  6) 에스더와 모르드개가 이와 관련하여 글을 쓰고 부림에 대한 둘째 편지를 굳게 지키게 하고 아하수에로의 나라 127 지방에 있는 유다 모든 사람에게 보내 부림일을 지키게 함.

  7) 에스더의 명령이 부림에 대한 일을 견고하게 하였고 그 일이 책에 기록되었다.

[정리2. 재정리]

결국 시간은 지나 아달월 13일이 되었다. 대적자들에 의해 죽임을 당할 뻔한 날이었는데, 하나님께서 오히려 역전케 하시어 대적자들을 심판할 수 있는 날이 된 것이다.

유대인들은 그 조서에 따라 신속하게 대적자들을 도륙하였다. 수산에서만 500명을 죽였고, 전국적으로 75,000명이 죽임을 당했다. 수산에서는 하만의 열 아들이 죽임을 당했다. 유다인들이 대적자들을 많이 죽이기는 했지만, 그의 재산에 대해서는 손을 대지 않았다. 이것은 정당한 복수의 개념이지 약탈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기 위함인지도 모르겠다. 암튼 유다인들은 대적을 심판하기는 했지만, 약탈하지는 않았다.

이 심판의 날이 있은 후 12월 14일은 축제의 날이 되었다. 유다인들은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는 날로 정한 것이다. 그러나 15일까지 축제를 벌이게 된 것에는 이유가 있었다. 수산 궁에서는 12월 13일 하루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여겼는지 대적자들을 위한 심판일을 14일 하루 더 연장할 수 있도록 에스더가 요청했고 왕이 이를 허락하여 추가로 300명의 사람이 죽었고, 하만의 열 아들의 시체는 나무에 달리게 했다. 그렇게 해서 수산은 13,14일의 심판을 마치고 15일에 쉬게 되는데, 전체적으로는 14,15일을 부림일로 정해 이틀간 축제로 지키게 된 것이다.

에스더와 모르드개는 이 역사를 잘 간수하고 전국적으로 매해 이 날을 지키게 하였다.

[정리3. 묵상 및 적용]

1. 아달월 13일은 심판의 날이다.

하만의 계략도 잔인했지만, 유다인들도 똑같이 잔인하다고 여겨지는 본문이다. 심지어 에스도는 수산에서 하루만의 복수도 부족해서 하루 더 연장해 달라는 부탁을 했고, 하만의 열 아들을 죽인 것만으로도 부족해서 그 아들을 나무에 달도록 요청했다.

이와 같은 유다인들의 잔임함을 어떻게 봐야 할까 잠시 고민하게 되지만, 중간 중간 대적자들을 도륙하기는 했지만 그들의 재산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을 보면, 이 일은 탐욕에 의한 살육이 아니라 정당한 심판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 같다. 따라서 <복수>라는 입장에서 유다인들의 입장을 볼 것이 아니라, <심판>이라는 입장으로 봐야 할 것 같다. 최후의 심판도 마찬가지다. 하나님의 준엄한 심판이 이와 같이 대적자들에게 일어나게 될 것이기에.

우리는 <복수>와 <심판>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하겠다. <복수>는 금지되어야 하겠지만, <심판>은 정당하게 일어나야 한다. <복수>로 다스려지는 사회는 끔찍하지만, <심판>이 없는 사회 또한 두려운 것이다. 그래서 법이 존재하고, 그 법을 집행할 대행자가 필요한 것이다. 성경은 <복수>는 금지하지만, <심판>은 인정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되겠다.

2. 역사의 기록과 보존은 역사의 의미를 오늘에도 적용하고 상기하기 위한 것이다.

에스더와 모르드개는 이 날의 역사에 대해서 기록했고, 그 기록을 보존하고 후대의 사람들도 부림일을 통해서 정기적으로 이 날을 상기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유다인들은 적어도 자기 민족의 유익과 안위를 위해서 자신을 희생할 수 있고, 생명을 던질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모르드개가 죽어도 하만에게 절하지 않았던 것처럼 민족적 자존심을 잃지 않으면서도 유다인들은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죽음으로부터 구원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 유다인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킨다.

나를 포함하여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부족한 것이 민족의식이다. ...(내용 추가)

 

- 끝 -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hunmill

앞으로 40년은 성경 내용을 축적하는데 관심을 집중하려고 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내용도 충실하고, 전달하는 것도 효과적이고, 성도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티블로그는 창고면서, 공장이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