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돈에 대한 우리의 이중적 태도.
    세속성(돈을 밝히면) 그러나 현실성(돈이 없으면 불행함)
    그래서 부자들은 돈의 개념이 무엇인가에 앞서서 어려서부터 돈을 관리하는 법을 배운다.


  2. 돈은 무엇인가?

    1) 돈은 피다. 힘겨운 노동을 통해서 얻는 것이기에.
    2) 돈은 돈으로 환산되지 않는 것조차 환원시킨다. 그래서 돈은 폭력적이다.(보통은 불공정한 환산이기에)
    3) 우리가 돈을 주고 구입하는 것에 어떤 노동, 어떤 내용들이 투입되었는지 안다면 우리는 구입할수 없는 것들이 많다. 모르니까 산다. 알면 다친다. 소비는 무지를 먹고 자란다.


    • 나이키 축구공, 닭가슴살, 가발.

  3. 삶을 옥죄는 학생 빈곤

  4.  1) 학생들은 돈이 0이 되는 순간, 고립된다.(사람도 만날수 없고, 연애도 할 수 없다... 소통할 수 있는 기회없음)
     2) 돈은 행복은 가져다 주지 않았지만, 자유는 확실히 빼앗아갔다. 
     3) 죽을 듯이 돈을 버는 이유는 비굴하지 않고, 돈이 있으면 자유로워지기 때문이다. 

4. 돈이 자유라는 말의 의미
 
         1) 돈이 없다는 것은 불편함 그 이상이다. 자유의 박탈이면서 존재의 박탈이다. 
         2) 돈을 통해서 자유로워진다. 돈에 종속될 때 자유를 얻는다. 
  3) 우리가 돈의 노예가 되는 이유는 행복을 쫓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유를 박탈당하지 않기 위해서다. 
  4) 과거 386세대의 자유란 '민주주의'를 말한다. 민주주의는 독재의 반대요 그것은 억제당하지 않을 권리다. 그러나 지금의 자유란 '경제적인 것'이다. 왜냐하면 경제적 계층별로 누릴 수 있는 자유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5) 오늘날 자유란 내가 무엇인가를 소비자로서 선택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 즉 선택의 자유, 소비의 자유다.

5. 그리고 돈의 흐름 혹은 틈새

 1) 돈을 소유의 개념으로만 보면 돈의 노예가 되지만, 상상공장처럼 나눔 혹은 공유의 개념으로 다시 바라보면 자본주의의 빈틈이 커다랗게 보인다. 
 2) 교환에는 이면에 일어나는 일들이 감춰져 있지만, 증여에는 따듯한 이야기와 환대가 있다. 
 3) 돈에 대한 이런 개념의 전환들이 서서히 일어나야 하지 않을까?


[나눔 질문]
 1. 돈이 자유를 제한한다는 것의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2. 할 수 있는데, 하지 않는 것과 원천적으로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것. 이것이 돈이 없는 사람에게 일으키는 감정은?

 3. 학생들이 틈만 나면, 알바에 목매는 이유는? 소비 때문이다.

 4. 돈이 없어 사람을 만나지 못하는 것은 구질구질한 인생이다.(과거에는 더 돈이 없었는데.... / 다 돈이 없었음)
   - 소비적인 기본 개념이 높은 상태에서 그 기본을 맞출 수 없다면, 만나지 않는 것이 낫다. 민폐를 끼치지 말자. 

 5. 수양회 회비에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 기회 비용을 잃어버리는 학생들... 


TistoryM에서 작성됨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hunmill

앞으로 40년은 성경 내용을 축적하는데 관심을 집중하려고 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내용도 충실하고, 전달하는 것도 효과적이고, 성도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티블로그는 창고면서, 공장이기도 한다.

,
[정리]

 지금의 대학생들은 '사랑의 순수성'이 사라졌다기 보다, 이미 그 나이에 '사랑을 계산해야 하는 상황'을 맞은 것이다. 가장 큰 요인은 사랑을 유지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는 것이고, 사랑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상황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시대의 사랑의 가장 큰 미덕은 서로를 '구속하지 않는 것'이다. 지금의 사랑을 즐길 뿐 서로에게 어떤 구속도 요구하지 않는다. 요구해서도 안된다. 그것은 사랑의 룰을 깨는 것이다.
이런 대학생들에게 '순수한 사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회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사랑을 할 수 있도록 이들이 가지고 있는 현실적인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도록 하는 것 등)

 질문0: 관계를 구질구질하게 하는 것은 최악이다. 사실인가?
 질문1: 학생들의 경제적인 부담이 '연애문제'에까지 깊숙히 들어와있다고 느끼고 있는가? 
 질문2: 학생들이 연애를 할 수 있도록 국가가 인프라를 구축해 주어야 한다는 것에 대한 저자의 제안에 대한 생각은? 
----------

1. 문제제기

요즘 대학생들은 사랑의 순수성(열정)조차 퇴색되었다. 진정한 사랑이 존재하는지 모르겠다. 헤어지는 것에 있어서 너무 쿨하다.(감정적으로 빨리 정리함)

  : 이들의 가치 중 하나는, 구질구질한 것은 죄악시. 쿨하거나 쿨한 척이라도 해야지.. 들러붙는 것은 가장 혐오스러운 행동.

2. 사랑은 성장 드라마

사랑은 통해서 사람은 감정노동을 하게되고 그것을 통해 사람은 성장한다고 생각한다. 대학생들은 연애를 위해 산다고 해도 받아들여주는 대상이다. 이런 그들에게 계산기를 두드리는 것이 가당키나 한 것인가?

3. 사랑에 서사가 가능한 시대가 아니다.

사랑을 기대하지만, 현실적이 되라고 한다. 현실적이란 미래를 예측하고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 달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예측불가능한 사회에서 가능한 것이란 말인가? 그래서 가장 어리석은 자는 오지 않을지도 모를 내일을 위해 오늘을 희생하거나 감수하는 것이다. 사랑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사랑을 즐기라고 말한다.

예전에 사랑은 자기를 희생하고 헌신하는 것으로서 증명된다고 여겼다. 사랑은 그래야만 했다. 그래야 사랑이다.
그러나 이제 사랑을 위한 비용은 서로에게 부담스러운 것이 되었고 그래서 사랑은 불안해졌다. 사랑을 유지하기 위해 너무 많은 희생이 들어감으로 연애에 목매는 자를 어리석게 본다. 비경제적이라는 것이다.

사랑을 유지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자 사랑의 표현방식이 바뀌었다. 희생적인 사랑이 아니라, 서로를 배려해 부담을 지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사랑이 되었다.(그래서 매달리는 것은 사랑이 아닌게 된 것이다) 등가교환을 통해 서로의 곤궁함을 배려한다. 이것이 이들의 사랑이다.

  "사랑은 서로를 피곤하게 하지 않는 것"


4. 그래서 사랑에 인프라가 필요하다.

이들의 사랑의 순수성이 없다고 지적하는 대상들을 향해 오히려 사랑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해 달라고 요청해야 한다. 대학생들은 공부만 하는 대상이 아니다. 공부도 하고 사랑도 하는 대상이다. 이들의 사랑이 섹스로 전락한 것은 이들의 현실이다.
이들은 불안하다. 자신의 미래가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이다. 불안한 인생은 서사를 쓸수가 없다.
삶이 임시적이 되었는데, 사랑이 어떻게 임시적이지 않을 수 있는가?


TistoryM에서 작성됨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hunmill

앞으로 40년은 성경 내용을 축적하는데 관심을 집중하려고 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내용도 충실하고, 전달하는 것도 효과적이고, 성도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티블로그는 창고면서, 공장이기도 한다.

,

http://m.newsnjoy.us/articleView.html?idxno=899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hunmill

앞으로 40년은 성경 내용을 축적하는데 관심을 집중하려고 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내용도 충실하고, 전달하는 것도 효과적이고, 성도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티블로그는 창고면서, 공장이기도 한다.

,

자본주의 1편. 돈은 빚이다.

 

 

 

 

자본주의 2편. 소비는 감정이다.

 

자본주의 3편. 금융지능은 있는가?

 

 

자본주의 4편.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자본주의 5편.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경제의 새로운 주체..시민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hunmill

앞으로 40년은 성경 내용을 축적하는데 관심을 집중하려고 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내용도 충실하고, 전달하는 것도 효과적이고, 성도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티블로그는 창고면서, 공장이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