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사사기 17장.] 이스라엘에 왕이 없다는 것, 그것은 모든 사람들이 자신이 스스로 왕이 되어 자기 마음대로 살아간다는 것을 의미했다.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을 왕으로 모시고 그 분의 법에 따라야 하겠지만, 이제 하나님의 대리자로서의 왕이 나와야 할 시대가 되었고, 그를 통해서 이스라엘을 다스려야할 때가 되었음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정리1. 본문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


1. 에브라임 산지에 미가라 하는 사람과 얽힌 이야기

  1) 미가의 어머니가 은 천백을 잃어버린 것으로 인해 저주를 하게 되었다. 

  2) 미가가 그 이야기를 듣고, 자신이 그 은 천백을 가져갔다고 하자 미가의 어머니는 자신의 저주한 말을 돌이켜 내 아들이 여호와께 복 받기를 원한다고 했다. 

  3) 미가는 그의 어머니에게 은 천백을 돌려드리자, 어머니는 이 은으로 자신의 아들을 위하여 신상을 새기고 한 신상을 부어 만들기 위해 이 돈을 여호와께 거룩히 드린다고 하면서 다시 아들에게 돌려주었다.

  4) 미가가 그 돈을 어머니에게 다시 돌려주자, 어머니는 그 중에 은 이백을 가져다가 신상을 부어 만들어서는 미가의 집에 두었다. 

  5) 미가는 자기 집에 신당이 있으므로 에봇과 드라빔을 만들어 한 사람을 세워서 그를 제사장으로 삼았다. 

 [결론] 그 때에는 이스라엘에 왕이 없었으므로 사람마다 자기 소견에 옳은 대로 행했다. 


2. 미가의 집에 제사장이 된 유다 베들레헴에서 온 레위인 이야기

  1) 유다 베들레헴에 한 레위인 청년이 거류할 곳을 찾아 다니다가 에브라임 산지로 가서 미가의 집에 이르렀다. 

  2) 미가는 그가 거류지를 찾는 것과 레위인이라는 사실을 알고는 자신을 위하여 아버지와 제사장이 되어 달라고 요청한다. 그리고 해마다 은 열과 의복 한 벌과 먹을 것을 줄 것은 약속했다. 

  3) 레위인은 그 사람과 함께 거주하기를 만족해 했고, 그 레위 청년은 미가의 아들 중 하나와 같이 되었따. 

  4) 미가가 그 청년 레위인을 거룩하게 구별하여 미가의 제사장이 되게 했고, 그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복 주실 것을 기대했다. 



[정리2.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글을 다시 풀어서 쓰기]


사사의 이야기가 삼손으로 끝나고 이제는 이스라엘의 영적 도덕적 상황을 보여주는 이야기들을 소개한다. 

처음으로 소개된 사람은 에브라임 산지에 사는 미가라는 사람의 이야기다. 그의 어머니는 집에서 없어진 은 천백에 대해서 가져간 사람을 저주한다. 그러나 그 은을 가져간 것이 자신의 아들 미가라는 것을 알게 되자, 오히려 자신의 저주가 아들 미가에게 오게 하지 않게 할 방법으로 그 은의 일부로 한 신상을 만들어 미가의 집에 두게 하였다. 미가는 그것을 모셔둔 신당을 위해서 에봇과 드라빔을 만들어 놓기 까지 했다. 


영적인 면에서 말도 되지 않는 일들이 너무 자연스럽게 일어나고 있었다. 성경 기자는 그 때에 왕이 없었기 때문에 자신의 소견에 옳은대로 행했다고 표현한다. 


그 뒤에 이어지는 이야기는 미가의 집에 고용된 제사장에 대한 것이다. 유다 베들레헴에 머물던 레위인 청년이 거류지를 찾아다니다 에브라임 산지 미가의 집까지 오게 된다. 미가는 그를 자신의 집의 제사장이 되어 줄 것을 요청하고 그와 계약을 한다. 레위인은 그 계약에 만족해 하면서 미가의 집 제사장이 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미가는 자신이 하나님께 복을 받게 될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정리3. 정리하면서 자연스럽게 나오는 메시지와 묵상들]


1. 에브라임 과 유다에 대한 이야기가 절묘하게 연결되어 있다. 


에브라임에 대한 이야기는 사사기 속에서 몇 차례 언급된다. 주로 부정적으로 묘사되었었는데 여기서도 그렇게 언급된다. 그런데 오늘 본문에서는 에브라임과 더불어 유다 베들레헴에 대한 언급도 나온다. 물론 레위인이 유다 지파는 아니지만, 유다 가족에 속한 유다 베들레헴의 한 청년이라고 표현한 것(7절)을 볼 때 거의 유다와 같은 상태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하다. 그런 레위인이 등장한다. 그는 자신이 거류할 곳을 찾아 다니다가 미가를 만나 그의 집에 제사장이 된다. 


에브라임이나 유다 지파나 또한 레위인이나 모두 부정적인 문제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는 사사기의 기록 자체가 에브라임과 유다 그리고 레위인에 대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도 있겠다. 따라서 독자는 사사기를 읽으면서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이들의 이야기의 저변에 깔린 의도를 읽어 내야 할 것이다. 


2. 우리가 보면 이상해 보이는 행동을 당시의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상하게 느끼지 못하고 있다.


우상을 만들고 에봇과 드라빔을 만들고 그러면서도 개인 제사장을 들이는 미가의 집이나, 거류할 곳이 필요하지만 레위인이 우상을 섬기는 제사장으로 고용되어 큰 갈등없이 지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우리에게는 매우 거북하게 들린다. 그런데 미가와 레위인은 전혀 거북함을 느끼지 못한다. 오히려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복을 내리시지 않겠는가 기대까지 하게 된다.(2,3절, 13절)


아무런 문제의식이 없이 드러내고 있는 것은 이것이 그 당시의 영적인 상황임을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함이리라 본다. 그 만큼 사사 시대는 무지했고(그래서 그릇된 방법으로 하나님을 섬기면서도 축복을 받을 것으로 생각했다.) 하나님의 법이 제대로 다스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각자 자신의 소견에 옳은 대로 행했으나 아무도 그것에 대해서 문제 제기를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영적 무지는 돌이킬 수 있는 기회를 얻지 못한다. 특히, 한 개인이 아니라 그 시대와 그 시대의 교회가 그와 같은 상황이 될 때 교회는 더더욱 돌이킬 수 없는 무지와 영적 타락으로 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 시대의 교회가 그렇게 되지 않기를... 교회에게 주신 자정능력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를 제기하며 고칠 수 있는 교회가 되기를 소망한다


3. 그 때에는 이스라엘의 왕이 없었기 때문에 각자 소견에 옳은대로 행했다.(6절)


왕이 필요한 시대가 와야 한다는 것에 대한 명분을 주기 위함인지 아니면 모든 사람이 왕처럼 행동하여 하나님을 왕으로 모시지 못한 무법한 시대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모르겠다. 어쩌면 둘 다를 의미한다고 할 수도 있겠다. 왕이 없다는 것, 최종적 권위가 없다는 것은 이와같은 영적 무질서를 만들어 내면서도 문제의식이 없서 개선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인도한다. 


이제 이스라엘은 다시 왕을 통해 재정비가 필요한 때가 되었다.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을 왕으로 모셔 그렇게 해야 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하나님을 대신 하여 하나님의 법을 세우고 다스릴 인간 대리자의 통치가 필요한 순간이 된 것이다. 그렇게 사사기는 사무엘서의 사울과 다윗으로 이어지는 것인가 보다. 


  - 끝 -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hunmill

앞으로 40년은 성경 내용을 축적하는데 관심을 집중하려고 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내용도 충실하고, 전달하는 것도 효과적이고, 성도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티블로그는 창고면서, 공장이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