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봄>

                                                          김세빈   


<봄봄>은 중학교 국어 선생님의 추천해주셔서 읽게 되었다. 작가는 ‘김유정’으로 불우한 청소년기를 보내고 작가 데뷔 후에도 생활고에 시달렸다. 게다가 폐결핵으로 우울한 성격을 지녔다고 한다. 이러한 우울한 성격 때문인지 유머 있기로 유명한 그의 작품 뒤에는 항상 애수의 그림자를 숨겨놓았다고 한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농촌을 배경으로 하여 도시적 소시민의 생활을 보여준다. 대표작으로는 <동백꽃>, <소낙비>, <금파는 콩밭> 등이 있다. 작가 김유정은 인생파적인 태도를 취하여 그의 작중인물을 대부분 어리석고 무지한 인물로 설정하였으며 한국 문학 사상 최초로 토착적인 유머를 형상화 시켰다. 물론 <봄봄>에서도 바보스럽고 순진한 주인공 데릴사위와 탐욕적인 장인 사이의 희극적인 갈등을 재미있고 현장감 있게 구경할 수 있다.


<봄봄>의 주요인물은 주인공이자 서술자인 데릴사위 ‘나’, ‘나’와 성례를 치르기로 한 ‘점순이’, ‘점순이’의 장인이다. ‘나’는 점순이와 성례를 치르기 위해 장인의 집에서 3년 7개월 동안 머슴살이를 하다 참다못해 ‘구장’을 찾아가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무용지물이었다. 결국 ‘나’는 장인과 싸우게 되었지만 점순이 마저 ‘나’의 편은 들어주지 않아 허탈한 얼굴만 남은 채 이야기가 끝난다. 이 중, 내가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나’가 ‘구장’을 찾아가 억울함을 호소하며 성례 시켜 달라 부탁하였지만 장인이 ‘구장’에게 한 귓속말로 성례 이야기는 수포로 돌아가게 된 장면이다. 이 장면이 인상 깊었던 이유는 3년 7개월 동안 데릴사위라는 이유로 반 강제적인 정략결혼의 희생물이 되어 노동만 하는 것도 모자라 장인과 그 외의 주변 사람들에게 억압받는 주인공의 삶이 너무 고달파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 가장 먼저 생각한 것은 결말이 잘린 것처럼 데릴사위와 장인의 갈등이 해소되지 않은 채 끝나 의아해했다. ‘나’와 장인의 갈등이 화해되거나 악화되거나 어느 한 방향으로 이끌어져 끝나야 할 것 같았는데, 열린 결말로 끝나서 찝찝한 채로 <봄봄>에 대해 계속 생각했던 것 같다. 어쩌면 작가 김유정은 열린 결말을 통해 독자가 더 궁금해 하고 뒷이야기를 상상하게 만들고 다시 책을 곱씹게 하려는 장치로 사용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봄봄>의 작가 김유정은 갈등을 해학적으로 풀어 주인공을 바보스럽게 만들고 이야기를 유머 있게 썼지만 그 안에 지식과 법, 재물 앞에 인간의 존엄성이 얼마나 유린당하고 있는지, 가진 자의 횡포를 우회적으로 잘 풍자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hunmill

앞으로 40년은 성경 내용을 축적하는데 관심을 집중하려고 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내용도 충실하고, 전달하는 것도 효과적이고, 성도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티블로그는 창고면서, 공장이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