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 행동'에 해당되는 글 1건

[개관] 1장에서 루이스가 인간은 <인간 본성의 법칙>을 누구나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따라야 한다는 생각을 본성적으로 가지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런 방식으로 행동하지 않는다)  2장은 루이스의 이 논리에 대한 반론에 대해서 답변하는 형식으로 2장 내용을 전개한다.

 


[반론1] 당신이 말하려고 하는 도덕률이란 사실상 인간의 집단 본능에 불과한 것처럼, 다른 본능들처럼 발전해 온 것이 아닙니까?(도덕률과 인간의 본능을 동일한 것으로 보는 견해)


[루이스의 답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도덕률과 인간 본능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함


<예1>

위험한 지경에 처한 사람이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가 들려올 때 우리는 두가지 욕구를 동시에 느낌.

 1.  당장 달려가 도우려는 욕구(집단 본능에서 나온 것이다.)

 2. 위험을 피하려는 욕구(이것은 자기 보전 본능에서 나온 것이다.)

그리고 이 두가지 충동 외에 <도망치려는 충동을 누르고 도우려는 충동을 북돋우라>고 말하는 제 3의 어떤 무언가를 내면에서 발견하게 된다. 즉 두 본능 사이에서 판단을 내리고, 그 가운데 어떤 본능을 따라야 할지를 결정해야 하는 이것이 두 본능 가운데 하나 일 수는 없다. 즉 제 3의 또 다른 욕구가 있다는 것이다. 


  루이스가 말하고자 하는 <도덕률>이라는 것은 제 3의 욕구에 대해서 말하는 것으로, 1,2번의 본능이 단지 건반 키들에 불과하다면, 제 3의 욕구인 도덕률은 마치 연주해야 할 곡으로 비유할 수 있는 것이다. 


<예2> 두 본능이 우리 안에서 싸울 때, 강한 본능이 이겨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약한 편을 들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물에 빠지 사람을 돕는 편보다는 자신의 안전을 도모해야 하는 편을 더 바랄 것이다. 그러나 도덕률은 그래도 그를 도와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도덕률은 옳은 충동을 원래보다 더 강화시키기 위해서 애쓰라고 할 때가 종종 있지 않은가? 건반은(본능 1,2) 자신을 다른 건반보다 더 크게 치라고 지시할 수는 없다. 


<예3> 도덕률은 단순히 본능 중 하나가 아닌 또 다른 확인은 도덕률이 본능의 하나라며, 언제나 선하고 옳은 충동 하나를 우리의 내면에서 짚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런 충동이란 없다. 모성애나 애국심은 선하지만, 성충동이나 싸우려는 충동은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이런 충동들은 상황에 따라 필요한 것이기도 하고 과도한 충동은 악을 유발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엄밀하게 말해서 충동에는 원래 좋거나 나쁜 것이 없다.(심지어 보편적인 인간애도 그릇될 수 있다. 인간애를 핑계로 정의를 무시한다면 말이다)


도덕률은 본능 중 하나도 아니고 본능을 모아 놓은 것도 아니다. 도덕률은 본능들을 지휘하여 일종의 곡조(우리가 선이나 옳은 행동 이라고 부르는 곡조)를 만들어 내는 어떤 것이다. 




[반론2] 당신이 말하는 도덕률이란 교육을 통해 우리에게 주입된 사회적 관습에 불과한 것이 아닙니까?(도덕률이라는 것이 본성적인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그 사회의 문화 가치관의 영향력에서 파생된 것에 불과하지 않은가?)


[루이스의 답변] 루이스는 몇 가지 측면에서 답변을 제시한다. 


1. 인간 본성의 법칙을 수학과 같은 부류에 포함시켜야 한다. 

  1) 우리는 누구나 학교에서 구구단을 배웠습니다. 그러나 사막에 혼자 자란 아니는 구구단을 모를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구구단이 단지 인간의 관습, 즉 인간이 스스로 구성해서 낸것으로 원한다면 얼마든지 달리 만들 수도 있었다고 말할 수는 없지 않은가?


  2) 물론 학습을 통해서 좌측 통행, 우측 통행과 같은 것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수학과 같은 것은 그럴 수 없는 것인데 루이스는 인간 본성의 법칙을 수학과 같은 것으로 본 것이다.  그 두 가지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한 시대 한 나라의 도덕관은 다른 시대나 다른 나라의 도덕관과 다를 수 있지만, 사실 그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다. 그리고 그 모든 도덕관들을 관통하는 동일한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2) 민족마다 다른 도덕들에 대해서 생각할 때, 우리는 모두 한쪽의 도덕이 다른 쪽의 도덕보다 더 낫거나 못하다는 판단을 내리게 된다. 또한 한 민족의 도덕에 있어서도 도덕적인 진보란 이전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이 말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나치의 도덕이나 지금 우리의 도덕에 우열을 나눌수 없게 된다.) 그렇다면 이 둘(두 민족의 도덕관, 혹은 두 시대의 도덕관)을 비교할 만한 어떤 기준이라는 것이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것은 <참 도덕>이라는 어떤 것과 비교해서 그렇다고 판단하는 행위가 아닌가! 진정한 <옳음>이 있다는 것은 인정하는 셈이 되는 것이다. 


  [루이스의 결론] '바른 행동'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 차이 때문에 종종 자연적인 '행동 법칙'이란 없다는 의심을 하게 되긴 하지만, 사실은 이런 차이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이 상황이야 말로 오히려 그런 '행동 법칙'이 존재한다는 정반대의 사실을 입증한다는 것이다. 



[추가적인 반론에 대해] 300년 전 영국에서는 사람들을 마녀로 몰아서 잡아 죽이는 일이 벌어졌다. 그것이 당신이 말하는 '인간 본성의 법칙'이나 '바른 행동의 법칙'이란 말이오?


[루이스의 답변] 마녀사냥이 없어진 것은 더이상 마녀의 존재를 믿지 않기 때문에 없어진 것이지, 여전히 마녀가 존재한다고 믿는다면 오늘날에도 마녀사냥은 존재할 것이다. (마녀란 자신의 영혼을 악마에게 판 대가로 초자연적인 능력을 받아, 그 힘으로 이웃을 죽이거나 미치게 만들고 날씨를 궂게 만드는 사람들인데, 이들이 우리 주변에 여전히 살고 있다고 믿는 다면 아마 이 불쾌한 이적 행위자를 사형시켜 마땅하고 하는데 모두 동의했을 것이다.)


마녀가 없다는 지식의 진전은 있었던 것이지만, 이것을 도덕적 진보라고 볼 수는 없다. 집에 쥐가 없다고 쥐덫 놓기를 그만 둔 이를 인도적인 사람이라고 부를 수 없듯이 말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hunmill

앞으로 40년은 성경 내용을 축적하는데 관심을 집중하려고 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내용도 충실하고, 전달하는 것도 효과적이고, 성도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티블로그는 창고면서, 공장이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