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한장 정리]
1. 유다의 왕 요시야의 아들 여호야김이 다스리기 시작할 때에...
* 26장의 때와 같은 시대로 보이나, 성경의 각주에서도 보여주고 있듯이 <여호야김>은 시드기야를 잘못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27장은 계속해서 시드기야를 유다의 왕으로 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3절, 12절, 20절)
2. 하나님은 예레미야에게 줄과 멍에를 만들어 네 목에 걸고, 시드기야 왕을 보기 위해서 온 사신들의 손에 그것을 주어 그들의 왕에게 전해주도록 한다.(에돔, 모압, 암몬, 두로, 시돈의 왕에게) 그리고 그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여 전한다.
3. 하나님은 큰 능력으로 땅과 지상에 있는 사람과 짐승들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것을 하나님이 보시기에 옳은 자에게 그것을 주었다. 그러나 이제 하나님은 모든 땅을 내 종 바벨론의 왕 느부갓네살의 손에 주고, 또 들짐승들을 그에게 주어서 섬기게 했다.(5-6절) 그래서 정한 기한까지 바벨론을 섬기게 될 것이라고 말씀하신다.
* 바벨론이 이지역을 점령하고 다스리게 될 것임을 예언하는 것인데, 그것을 마치 창세기 1-3장에서 아담에게 에덴을 주었다가 아담의 타락으로 인해 아담이 에덴에서 쫓겨난 것을 생각나게 하는 말씀을 하셨다. 이 땅도 원래 하나님께서 옳은 사람들에게 주셨는데, (그들이 죄악을 행함으로 그들에게서 빼앗아 자기 백성을 징벌하기 위한 또 다른 종 바벨론) 지금은 바벨론에게 주었다고 말씀하고 있다. 따라서 정한 기한까지는 바벨론을 섬기게 될 것이다.
4. 만약, 바벨론을 섬기지 않는다면 하나님께서 그들을 멸망하기까지 칼과 기근과 전염병으로 그 민족을 벌할 것이다. 그리니 선지자나 복술가들이 바벨론을 섬기지 아니하리라 하는 말을 믿지 말라. 그들이 정작 너희들을 멸망하게 할 것이다.
* 하나님께서 지금 역사를 주관하시되, 그 힘을 바벨론에게 일정 기간 주셨음을 말한다. 따라서 그 앞에 굴복하게 하신다. 그렇지 않다면 그 민족과 나라는 망하게 되는 것이다. 괜한 민족주의나 막연한 소망을 주는 정치인들과 선지자의 말에 흔들려서는 안된다.
5. 예레미야는 유다의 왕 시드기야에게 이 말을 전하면서, 바벨론 왕을 섬기면 살것이라고 전한다. 그러면서 바벨론 왕을 섬기지 아니하리라는 선지자의 말을 듣지 말 것을 당부한다. (14절)
6. 하나님은 거짓 예언을 하는 선지자들 멸망시킬 것임을 말하신다. 왜냐하면 이들은 바벨론에 빼앗겼던 여호와의 성전의 기구가 다시 돌아오게 될 것이라는 그런식의 예언을 했다. 이런 예언을 믿는 것은 이 성을 황무지로 만드는 것이 되고 말 것이다. 그들이 참 선지자라면, 빼앗긴 것이 돌아올 것이라는 말이 아니라 지금 있는 것이 빼앗기지 않게 해 달라고 기도해야 옳을 것이다.(바벨론의 2차 침략기에 빼앗긴 것을 말하는 것 같다. 주전 598년 / 여고니야(여호야긴) 20절)
7. 하나님은 하나님께서 그것들을 돌보시는 날까지 그곳에 있게 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22절)
[묵상 한 모금]
시드기야 왕 시대에 정치적 분위기는 바벨론을 대적하고 기회만 온다면 그 영향력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선지자들은 오래지 않아 바벨론에 빼앗겼던 성전 물건들을 도로 가지고 올 수 있을 것처럼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했고, 정치적으로 반 바벨론적 여론이 컸다.(물론 물리적으로는 바벨론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었지만) 종교적 희망주의, 정치적으로는 반바벨론 주의.
그런데 하나님은 예레미야를 통해서 시대적 흐름과 다른 메시지를 전하신다. 유다에게 준 땅을 빼앗아 바벨론에게 주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제 바벨론을 섬기라고 말한다. 그리고 종교적으로 비관적인 메시지를 전한다. 빼앗겼던 성전 기물들은 돌아오지 않는다. 오히려 남아 있는 것들이 보존되도록 기도해야 한다고 예레미야는 말한다. 그 당시 예레미야는 종교적으로 회의주의자였을 것이고, 정서적으로는 반민족주의자처럼 보였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님의 계획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아는 자의 태도였다.
물론 바벨론의 지배는 제한적이다. 정한 시기가 있다. 그 때까지 그렇게 하도록 하신다는 것이다. 그 다음은 다르게 진행될 것이다.
우리는 기독교인으로 종교적 낙관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해서 좀 더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반민족주의적 메시지를 전하면서, 본인이 혜택을 입었다면 그것은 권력에 아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인이 오히려 고난과 질타를 받았다면 그의 메시지는 주의깊게 들어볼 필요가 있다. 선지자적 메시지가 될 수 있으니...)
'매일 성경 > 성경 한장 묵상 한모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레미야 29장. 예레미야의 메시지는 누구도 감당하지 못했을 것이다. (0) | 2013.09.12 |
---|---|
예레미야 28장. 참된 선지자와 거짓된 선지자의 특징 (0) | 2013.09.10 |
예레미야 26장. 예레미야아 당한 위협, 예수가 당한 죽음 (0) | 2013.09.06 |
예레미야 25장. 죄가 더 많은 자가, 죄가 더 적은 자를 판단하는 경우 (0) | 2013.09.05 |
사무엘상 17장. 힘의 싸움에서 믿음의 싸움으로 (0) | 201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