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노에 대해서1]
고대 그리스 철할자 플라톤은 용기 있는 자만이 분노할 수 있다고 말하며 분노를 현자가 마땅히 지녀야 할 덕으로 간주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화를 낼 만한 일이나 대상에 대해 적절한 때에 화를 내는 일은 칭찬받을 만하며, 이것은 악이 아니라 도리어 미덕이라고 주장했다.
- 죽음에 이르는 7가지 죄(신원하), 87쪽.
분노가 악의 도구가 되기도 하지만,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는 것도 함께 생각해 봐야 하는데, 우리는 너무 분노를 용서와 사랑이라는 덕목으로 <억압>만 한 것은 아닌가 반성해 보아야 할듯 합니다.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는 분노가, 뒷담화로 나타나기 쉬운데 분노에 대해서는 격하게 정죄하면서도, 뒷담화에 대해서는 서로 관대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분노에 대해서2]
인간이 화를 낼 때 그것이 치명적인 문제가 되는 이유는, 그 화가 의로운 것이든 아니든 좀처럼 통제하기 쉽지 않다는 데 있다. 바로 여기서 중요한 문제가 발생하는데, 분노해야 마땅한 대상에게 마땅한 몫으로 갚아 주는 정의의 수준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89쪽)
흔히 분노가 극에 달하면 이성을 잃는다고 표현하는데, 이 말은 복수에 대한 욕망으로 정신이 한 곳으로 몰린다는 뜻으로 이해하는 것이 정확하다. 이성은 실종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복수할 계획과 전략을 짜는 쪽으로 몰린다.(91쪽)
- 죽음에 이르는 7가지 죄, 신원하.
분노에서 태동하는 복수는 그래서 강력하고 집요하며 사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이 낼 수 있는 최대치의 악이 집중되는 것은 분노로부터 올라온 것이다. 따라서 분노를 다스리지 않고 방치하거나 방임한다면 우리는 지옥으로 가는 문을 열어놓고 사는 것과 다름이 없다... 그래서 분노는 위험하다.
[분노에 대해서3]
분노를 이기는 길(98-106쪽)
1. 원수 갚는 일은 나에게 속해 있지 않다.
: 하나님께 심판을 맡기고 내가 심판하지 않기
2. 용서하기
: 분노의 씨앗이 자라지 못하도록 용서해 버리기
3. 분석하고 소통하기
: 객관화하여 분노의 대상을 분산시키기라고 보면 될 듯
4. 입 안에 침이 고이기까지
: 일단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고 참기
5. 생산적 에너지로 전화하라.
: 루터는 화가 나면 화를 솟구치게 하는 그 에너지를 이용하여 글쓰기와 연구에 몰두했다는...
- 죽음에 이르는 7가지 죄, 신원하.
올 해는 우선 실천하기 쉬운 것부터 해 봅시다. 입 안에 침이 고일때까지 말하지 않는 것으로 분노를 다스려 보는 것부터 해 봅시다. ^^
'기타정보들 > 죽음에 이르는 7가지 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음에 이르는 7가지 죄_탐식 편 (0) | 2013.01.10 |
---|---|
죽음에 이르는 7가지 죄_탐욕 편 (0) | 2013.01.09 |
죽음에 이르는 7가지 죄(신원하)_ 나태 편 (0) | 2013.01.08 |
시기하는 자의 시기가 얼마나 강력한가를 보여주는 예화 (0) | 2012.12.06 |
죽음에 이르는 7가지 죄_신원하 (0) | 2012.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