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1. 대학생들이 독립적이지 못한 이유. 일종의 죄책감으로 인한 것이다. 
2. 가족의 문제는 소통이 답이 아니라, 감정노동을 한 사람이 아닌 가족 모두가 분담하여 하는 것이다. 

지금은 대학생들은 일종의 죄책감을 가지고 살아간다. 기가 죽은 상태로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것은 독립의 장벽이 너무 높기 때문에, 부모에게 기생하며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반면, 부모는 자녀의 대학 등록금을 책임져줄만 하다.) 그것으로 인해 대학생들은 채무자의 심정으로 살아간다.
건강한 가족은 단순히 말이 많고 의사소통이 잘 되는 가정이 아니다. 그것은 어느정도 사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옵션과 같은 것이다. 소통보다 우선인 것은 <가족들을 향한 감정노동>이다. 이것을 통해 가족은 유지되고, 나름 힘들지만 서로 그와 같은 과정을 밟아가고 있는 것이다. 이전까지 어머니만 해오던 감정노동을 가족 전체가 나누어서 해야 한다. 소통은 그 다음에야 생각해 볼 문제다. 

질문1: 대학생들은 부모에 대한 일종의 채무감을 가지고 살아간다. 그 무게가 상당히 무겁다. 그런가?
질문2: 감정노동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 / 공동체의 유지는 감정노동을 통해서 가능하다?

-------

1. 보편적인 인식: 
요즘 대학생들은 '성장'이 멈췄다. 대학생이 되어도 여전히 엄마라는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과거의 대학생들의 생각과 상반된다. 그들은 독립을 꿈꿨다. 그러나 지금의 대학생들은 독립을 두려워한다.

2. 과연 그런가?
우리가 규정하는 대학생들이 보편적인 대학생들일까? 부모의 테두리에서 살아가는 대학생들이 대부분인가? 그렇지 않다. 그런 역할을 할수 있는 사람은 특권층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그렇지 못하다.

3. 현실
부모의 제공이 안락함이 아니라 부담이 되는 삶을 산다. 과외나 알바를 통해 부모의 짐을 덜어준다는 것은 오히려 어렵다. 부모는 돈을 대줄테니 공부에 집중하여 취업을 잘 하라고 하지만 취업조차 쉽지 않으므로 부모에게 더욱 면목이 없다. 대학생들은 자신이 부모의 등골을 빼먹는 밥버러지, 잉여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 과거 대학생들은 부모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있었지만, 지금의 대학생들은 부모에게 <죄책감>을 느낀다. 

4. 한국 가정의 문제
대화와 소통이 단절된 가정.
의무적인 활동만을 하는 곳이 됨. 하숙집이 되어 버림.

5. 가정 문제의 해결 방법/그릇된 해법이 오히려 더 큰 짐을 지운다.
감정 노동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공동체. 참고 인내하고 기다리고 견딤을 통해서 공동체는 형성됨. 가정노동이 없는 가정, 노동은 없이 쉼만을 생각하면 가정은 하숙집이 됨.
그 동안 한국 가정에서 엄마만이 감정노동을 해왔다. 엄마만이 감정노동의 착취를 당했기 때문에 엄마에게는 많은 한탄만이 남게 된다.

그런데 사회는 소통이 답이라고 말한다.
소통이란 감정노동을 노동으로 생각하지 않을 만큼의 여유가 있는 사람들에게서나 가능하다. 대부분의 가정은 감정노동을 통해 가정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소통이 원활해야 건강한 가정이라고 규정하는 이데올로기가 이미 가정 안에서 건강한 감정노동으루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노동을 무가치하게 보거나 혹은 추가적으로 소통까지 잘 해야 한다는 불필요한 짐을 지우게 되었다. 그래서 건강한 가족임에도 오히려 건강하지 않은 것으로 규정하여 더 힘들게 한다.

감정노동이 필요없는 가정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TistoryM에서 작성됨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hunmill

앞으로 40년은 성경 내용을 축적하는데 관심을 집중하려고 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내용도 충실하고, 전달하는 것도 효과적이고, 성도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티블로그는 창고면서, 공장이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