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수 좋은 날>
김세빈
<운수 좋은 날>은 예전에 읽어본 적이 있는데, 읽은 지 오래되기도 했고 가볍게 읽어서 더 자세하고 깊게 읽고 싶어 다시 읽게 되었다. <운수 좋은 날>의 저자는 ‘현진건’이다. 그는 사실주의 작가로 치밀한 구성과 반전의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염상섭, 김동인과 함께 초기 사실주의 문학의 확립자로 위치를 굳혔다. 초기에는 주로 식민지 시대에 절망한 지식인들의 일상을 다뤘지만, <운수 좋은 날>을 이후로 주요인물이 노동자나 빈민으로 초점이 맞춰지면서 <운수 좋은 날>은 1920년대 사실주의 문학의 기틀을 다진 획기적인 작품으로 여겨진다.
<운수 좋은 날>의 주요인물은 인력거꾼 ‘김첨지’로 몸 져 누워있는 아내와 젖먹이 아기가 있지만 돈이 없어 아내에게 약 한 첩 사주지 못한다. 운수 좋은 그날, 아내는 김첨지에게 오늘은 나가지 말라고 애원한다. 하지만 김첨지는 거칠게 말을 뱉으며 무시하고 인력거를 끌며 나간다. 겨울비는 추적추적 내리는데 웬일인지 손님이 끊이질 않고 지금껏 만져보지도 못한 큰돈을 만지게 되면서 불안한 마음을 떨치며 친구와 술집에 간다. 내가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김첨지가 친구와 술을 마시며 호기를 부리다 아내의 죽음을 직감하며 눈물을 쏟은 부분이다. 처음에는 아내의 말을 무시하고 나가버린 김첨지가 어리석고 원망스러웠지만, 1920년대 식민지였던 조선의 시대적 배경을 생각하니 김첨지 즉, 하층민 식민지 민중들의 삶이 공감되어 가장 인상 깊었던 것 같다. 먹고살기 위해 아내의 애원을 묵살하고 일하러 나가야 하는 김첨지의 속이 얼마나 안타깝고 절망스러울지 마치 내가 김첨지가 된 것처럼 김첨지의 상황이 너무나 안쓰러웠다.
1920년대 문학이 바라본 식민지 조선은 가난과 병마, 죽음의 고통이 혼재되어있는 공간으로, 1920년대의 배경을 고려해 본다면 김첨지는 특수한 개인이 아닌 식민지 민중의 고난을 대표하는 사람으로 쓰인 것 같다. 또한 <운수 좋은 날>에서 내리는 ‘겨울비’는 아내의 죽음을 예시하는 기능적 배경뿐만 아니라 김첨지(하위 식민지 계층)가 놓인 환경을 상징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작가 현진건은 제목을 ‘운수 좋은 날’이라는 반어를 통해 김첨지의 비극적 효과를 증폭시키며 치밀한 구성 속에서 사실적으로 묘사해서 그런지 정말 몰입되고 여운 남는 단편 소설 이었다.
'신변잡기 이야기 > 가족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백꽃 독후감_김유정] 작성: 김세빈 (0) | 2016.02.21 |
---|---|
[김유정 봄봄 독후감] 작성: 김세빈 (0) | 2016.02.19 |
[명절 가족] 화해1_무릎꿇음 (0) | 2015.09.28 |
2015년 죠이선교회(JOY Mission) 김수억 간사가정의 새해인사 (0) | 2015.01.01 |
하루를 쓰다 (0) | 201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