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08'에 해당되는 글 1건


* 공자는 주공을 그리워하는 복고주의자, 노예제 옹호론자로 비판됩니다. 지난 시간에 이야기했듯이 당시에는 진보라는 관념 자체가 없었습니다. 경험한 것 중에서 보다 나은 것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오늘날의 진보 개념도 다르지 않습니다. 중세의 신학과 계몽주의 관념에서 가져온 것 입니다. 


 * 92쪽. 공자의 제자 자공이 정치를 물었다. 정치란 '식'과 '병'과 '신'의 세 가지라고 했다. 자공은 물었다. 이 세가지 중 부득이해서 없앤다면 뭘 없애야 하는가? '병'을 없애라. 또 한 개를 없애야 한다면? '식'을 없애라. 그러면서 마지막으로 하는 말이 '무無신信불不립立' 백성의 신뢰가 없으면 나라가 존립할 수 없다고 한다. 그 당시에는 국경 개념이 없어서 이동이 자유롭다. 임금이 신망이 있으면 몰려온다. 


공자는 인이란 '근자近者 원遠' 라고 했다. 가까이 있는 사람이 기뻐하고 멀리 있는 사람이 찾아오는 것이 인이라고 했다. 


* 공자의 논어는 인간에 대한 주목이었고, 인간관계의 발견이었다고 볼 수 있다. 마구간이 불탔는데 공자가 돌아와서 사람이 다치지 않았느냐고 묻고 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습니다. 이 일화를 두고 '공자가 인간적이다' 또는 '생명 관념이 편협하다'고 찬반이 엇갈리지만 당시에는 말 한 마리 값이 노비 세 사람 값이었습니다. 비싼 말은 묻지 않고 값싼 사람을 물었습니다. '논어'는 인간의 발견이었습니다.(97쪽)


 * 내용과 형식에 대한 담론 : 질이 문보다 승하면 야하고(질승문즉야), 문이 질보다 승하면 사하다(문승질즉사)

'질'은 내용을 말하고, '문'은 그것을 드러내는 형식을 말한다. 내용의 정당성만 강조하고, 그것의 수사에 무심한 경우에는 야(거칠다)하다. 그러나 형식만 있고 내용이 약하면 그것은 사치스럽다. 

문질빈빈 연후군자. 문과 질이 빈빈(잘 조화되어야야)해야 가히 군자라 할 수 있다. 


 * 나카지마 아쓰시의 중편 '제자'라는 소설. '공구'라는 사람이 '공자'의 제자가 되는 과정

"임금에게 바른말을 하는 신하가 없으면 임금은 올바름을 잃게 되고, 선비에게 배움의 벗이 없으면 선비는 들을 귀를 잃게 된다네. 나무도 새끼줄을 매어 둠으로써 비로소 곧게 자라는 것이 아니겠는가? 말에는 채찍이, 활에는 도지개가 필요하듯이, 사람에게도 방자한 성격을 바로잡기 위한 가르침이 꼭 필요한 것이라네. 틀을 바로 잡고 갈고 딲으면 그제야 비로소 유용한 재목이 되는 법이라네."


공구의 말. " 그렇지만.... 남산의 대나무는 쉽게 휘어지지 않고 저절로 곧게 자라서, 이를 잘라 사용했더니 무소의 가죽을 꿰뚫었다고 들었고. 천성이 뛰어난 사람에게 무슨 배움이 필요하겠소?"


공자의 답 "그대가 말하는 그 남산의 대나무에 살깃과 살촉을 달고 그것을 잘 갈고 닦으면 단지 무소 가죽을 꿰뚫을 뿐만이 아니라네."


  - 사람은 배움을 통해서 방자한 성격을 바로 잡으면 매우 유익한 자가 될 수 있음을 가르침.


*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에게 물었다. '군자도 궁할 때가 있습니까?' 자로라는 제자는 노하여 묻는 것에 대해 공자는 의외로 조용하게 답한다. '군자는 원래 궁한 법이라네.' '소인은 궁하면 흐트러지는 법이지'. 공자의 모든 것을 한 마디로 압축한 말이었다. 이 말을 들은 공자의 제자들이 기쁨을 감추지 못하고 함께 춤을 추었다고 합니다.(102쪽)


 * "용사의 괴력이나 지자의 신기에 비하면 공자가 가지고 있는 것은 가장 상식적인 완성에 지나지 않는 것이었다. 지정의 의 하나하나에서부터 육체적인 여러 가지 능력에 이르기까지 실로 평범하고 구김살 없이 발달한 완전함이었다. 하나하나 능력의 뛰어남이 전혀 두드러지지 않으면서도 지나치거나 모자람 없이 균형이 잘 잡힌 넉넉함은 자로로서는 실로 처음 보는 것이었다."(100쪽, 공자의 면목에 대해)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hunmill

앞으로 40년은 성경 내용을 축적하는데 관심을 집중하려고 합니다.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처음부터 체계적으로 축적하여 내용도 충실하고, 전달하는 것도 효과적이고, 성도들에게 필요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티블로그는 창고면서, 공장이기도 한다.

,